@dali
http://woman.donga.com/List/3/all/12/147302/1 위에 링크에나온 데이트폭력에 해당하는 목록들인데요
□ 큰 소리로 호통을 친다.
□ 하루 종일 많은 양의 전화와 문자를 한다.
□ 통화 내역이나 문자 메시지 등 휴대전화를 체크한다.
□ 옷차림이나 헤어스타일 등을 자기가 좋아하는 스타일로 하게 한다.
□ 다른 사람 만나는 것을 싫어한다.
□ 날마다 만나자고 하거나 기다리지 말라는데도 기다린다.
□ 만날 때마다 스킨십·성관계를 요구한다.
□ 내 과거를 끈질기게 캐묻는다.
□ 헤어지면 죽어버리겠다고 한다.
□ 둘이 있을 때는 폭력적이지만 다른 사람과 함께 있으면 태도가 달라진다.
□ 싸우다가 외진 길에 나를 버려두고 간 적이 있다.
□ 문을 발로 차거나 물건을 던진다.요런 것들에 해당하면, 폭력이구나라고 생각하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만, 저 기준들이 너무 엄격한 것들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긴 하네요
@bhjune님이 저 기준들이 너무 엄격한 것들이 아닌가 하고 생각하고 계신 것도 어쩌면 폭력을 폭력으로 인지하지 못하고 계신 걸 수도 있습니다. 폭력이라는 것을 인지하는 상태와 둘 중 누구도 그게 폭력이라고 인지조차 못하는 상태는 많이 다를 것 같아요. 항목 중에서 '하루 종일 많은 양의 전화와 문자를 하는 것'의 경우에는 폭력을 행사하는 사람이나 당하는 사람 모두가 폭력이 아니라 '사랑'의 증거로 생각하기 쉽죠. 둘다 폭력을 인지못한다면 영문도 모르는 채로 상처만 남고 헤어질수도 행복할수도 없게 되지 않을까요? 하지만 이것이 폭력이라는 것을 인정하는 순간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에 따라 해결이 가능할 수도 있고, 서로가 맞지 않음을 깨닫고 헤어질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폭력을 폭력으로 인지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방법이 문제겠지만요...
http://woman.donga.com/List/3/all/12/147302/1
위에 링크에나온 데이트폭력에 해당하는 목록들인데요
□ 큰 소리로 호통을 친다.
□ 하루 종일 많은 양의 전화와 문자를 한다.
□ 통화 내역이나 문자 메시지 등 휴대전화를 체크한다.
□ 옷차림이나 헤어스타일 등을 자기가 좋아하는 스타일로 하게 한다.
□ 다른 사람 만나는 것을 싫어한다.
□ 날마다 만나자고 하거나 기다리지 말라는데도 기다린다.
□ 만날 때마다 스킨십·성관계를 요구한다.
□ 내 과거를 끈질기게 캐묻는다.
□ 헤어지면 죽어버리겠다고 한다.
□ 둘이 있을 때는 폭력적이지만 다른 사람과 함께 있으면 태도가 달라진다.
□ 싸우다가 외진 길에 나를 버려두고 간 적이 있다.
□ 문을 발로 차거나 물건을 던진다. 요런 것들에 해당하면, 폭력이구나라고 생각하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만, 저 기준들이 너무 엄격한 것들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긴 하네요